1. 2025.01.06. 2025 취업규칙 개정, 이렇게 검토하세요 안녕하세요, 기업 중심 노동법 정보 전달에 앞장서는 "K&I 연구소"입니다.
취업규칙은 10인 이상 사업장인 경우 의무적으로 제정 및 신고하여야 하고, 그 이후에도 관계 노동법령이 계속해서 개정되기 때문에 2~3년마다 한 번씩은 주기적으로 개정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취업규칙을 개정할 때, 어떤 포인트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면 좋을까요?
오늘은 실무적으로 취업규칙을 살펴볼 때 회사에 도움이 되는 포인트를 중심으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더보기 |
2. 2025.01.13. 임원 계약 종료, 주의해야 할 점은? 대표자와 근로자로만 구성된 회사도 있지만, 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대표자의 부담을 덜기 위해 일정 권한을 위임하여 임원을 두는 회사도 있는데요.
이러한 임원도 계약을 종료할 때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을까요?
오늘은 임원과 계약을 종료하려고 할 때 회사에서 유의하셔야 할 사항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 더보기 |
3. 2025.01.14. 2025년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급여 계산은 어떻게? 1월 14일 오늘, 국무회의에서 이번 2025. 1. 27.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안건이 의결되었습니다.
갑작스러운 휴일 지정에 급여 계산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회사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어지는 내용에서 임시공휴일 운영 관련 사업장에서 궁금해하실 만한 사항들을 말씀드릴 테니 오늘 뉴스레터를 집중해서 확인해 주세요.
|
4. 2025.01.20. 합격 통보까지 했는데, 채용을 취소할 수 있나요? 신규 직원을 채용하다 보면, 최종 합격 통보까지 다 했는데 사정에 의해서 근로자가 출근하기도 전에 해당 T/O가 필요 없어지거나, 특정 자격 요건이 필요해 신규 직원을 채용했는데, 알고 보니 실제로 그 자격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그 직원의 채용을 취소할 수 있을까요?
채용하려던 직원이 "이미 최종 합격 통보를 받고 이사도 했고, 이전 직장에 퇴사 통보도 했으니 책임져라."라고 소송을 한다면 우리 회사에 문제는 없을까요?
오늘은 채용 취소 시 회사가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