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4.11.04. 연장근로 수당, 꼭 줘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가장 먼저 노동법을 마주하는 곳 'K&I 연구소'입니다.
- 연장근로 무제한으로 시켜도 되나요?
- 연장근로 수당, 꼭 줘야 하나요?
- 허락 안 했는데 연장근로수당 신청이 들어왔어요. 지급해야 하나요?
인사노무관리를 담당하시는 분들이 한 번쯤 고민해봤을 내용이죠.
연장근로 운영 방안에 대해서 K&I 연구소가 모든 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어지는 내용을 집중해서 확인해 주세요.
▶ 더보기 |
2. 2024.11.11. 휴업수당, 꼭 줘야 할까요? - 회사의 귀책사유로 휴업할 때
- 근로자의 귀책사유 휴업할 때
- 모두의 잘못이 아닌 상황에서 휴업할 때
기업은 휴업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을까요?
오늘 뉴스레터를 끝까지 정독해 주신다면, 어디서도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았던 '휴업수당'에 대해서 100% 이해하고 적용하실 수 있게 됩니다.
이어지는 글을 주목해 주세요.
▶ 더보기 |
3. 2024.11.18. 해외인력관리 EOR, 국내파견법이 적용될까?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기업들이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분야는 바로 인력 채용입니다. 채용 이후에도, 현지 노동법을 준수하면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급여를 지급하는 등의 HR 관리 과정이 모두 큰 부담이 됩니다. 그래서 그런지, 최근에는 'EOR 서비스'라는 것이 등장했는데요.
오늘 뉴스레터에서는 이러한 'EOR 서비스'가 무엇인지 설명드리고, 'EOR 서비스'를 통하여 해외 인력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리스크는 없는지 알려드릴테니 참고해보세요.
▶ 더보기 |
4. 2024.11.25. 계약직은 계약기간 끝나면 퇴사하는 거 아닌가요? (1편)
회사에서 통상 정년까지 근무하는 정규직들과 달리, 필요에 따라 특정 기간을 정해서 그 기간만 근무하는 조건으로 채용하게 되는 근로자들이 있습니다. 그런 경우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다고 하죠.
구체적으로는 육아휴직 등으로 정규직이 자리를 비워야 할 때 그 기간에만 대체해줄 사람이 필요하다거나, 특정 프로젝트만 진행해줄 지원 인력이 필요하다는 사유로 기간제 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간을 정하고 시작한 근로계약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그 기간이 끝나는대로 근로계약도 종료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 기간이 끝나서 근로계약을 종료한 것인데도 그 근로자가 부당해고를 당했다며 문제제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어지는 내용을 집중해서 확인해 주세요.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