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해고 구제신청,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간신히 문제직원을 내보냈는데
갑자기 노동위원회로부터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접수됐다는 연락을 받으셨나요?
그렇다면 이번 포스팅 잘 클릭하셨습니다.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기업들의 의뢰를 받고 사측 대리로 기각·각하 판정받아낸
부당해고 전문 강서구 노무법인 한국노사관계진흥원이 사건을 이기는 핵심을 정리해드릴 테니 말이죠.
당황스럽고 화가 난다는 이유로 감정적으로 대응하다가는
오히려 불리한 판정을 받을 수 있으니, 섣불리 행동하기 전 이 글부터 읽어보세요.
- 진짜 부당해고 전문가의 TIP
STEP 1. 이유서 확인
강서구 노무사가 가장 먼저 강조하는 것은 바로 근로자가 제출한 ‘이유서’를 꼼꼼히 확인하는 일입니다.
해당 직원이 ‘어떤 이유로 부당하다고 주장하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회사도 대응 방향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죠.
만약 직원이 ‘절차 위반’을 근거로 문제를 제기했다면?
→ 회사는 모든 절차를 적법하게 진행했음을,
즉 ‘절차상 하자 없음’을 입증하는 데에 집중해야 합니다.
STEP 2. 증거자료 수집
부당해고 구제신청에서 핵심은 바로 객관적인 ‘증거자료’입니다.
무작정 “직원 때문에 힘들었다”라고 감정적으로 주장하거나
“우리 회사에 엄청난 피해를 줬다”라고 아무런 근거 없이 말로만 주장해봤자 노동위원회에서는 전혀 인정되지 않습니다.
노동위원회는 판정을 내릴 때 양측이 제출한 ‘서면상의 객관적 증거’를 중요하게 보기 때문에
사업주와 인사담당자는 회사의 입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자료부터 취합하셔야 합니다.
앞서 말한 절차 위반에 대한 주장의 경우,
강서구 노무사는 아래와 같은 자료를 수집합니다.
-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등 사내 규정에 기재되어 있는 절차(인사위원회 개최 등)를
- 지켰음을 입증하는 자료(회의록 등)를 첨부하고
- 근기법에 따른 서면 통지 교부를 증명하는 서류(교부확인서 등)까지 함께 제출
STEP 3. 답변서 작성
모든 증거자료를 모았다면 이제 답변서를 작성할 차례입니다.
아무리 적법하게 내보냈고, 증거자료를 잘 수집했다고 하더라도
이를 법적 논리에 맞게 서면으로 녹여내지 못한다면?
억울하게 불리한 판정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답변서 작성 시에는 신청인의 주장을 확실하게 무효화시킬 수 있도록
사건의 주요 사실관계를 날짜별로 정리하고
각 내용에 해당하는 증거자료를 활용하고
필요 시 관련 판례를 찾아 첨부하시기 바랍니다.
▼ 21년 업력의 부당해고 전문 강서구 노무사가 말하는 답변서 작성 TIP
https://blog.naver.com/nosaplus4/223774521693
하지만 문제는 관련 법에 대한 지식과 사건에 대한 경험이 없는 비전문가인 사업주와 인사담당자가 위의 일을 수행하기란 어렵다는 겁니다.
노동법 전문가인 노무사라고 하더라도 기업이 아닌 근로자만 대리해온 강서구 노무사라면
방향성조차 제대로 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자칫 잘못하면 ①수백, 수천만 원의 금전적 손해는 물론, ②원직 복직까지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기에,
노동위원회 연락을 받은 즉시 기업 전문으로 일해 온 강서구 노무법인을 찾으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노무법인 한국노사관계진흥원은 2004년부터 오늘까지
사업주 중심으로 운영되어오며 각종 노동위원회/노동청 사건에 대한 실무 노하우를 쌓아왔습니다.
갱신 기대권이 쟁점이 되는 계약직 해지, 징계해고, 경영 악화로 인한 근로관계 종료 등
다양한 상황에 따른 대응 경험+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죠.
https://blog.naver.com/nosaplus4/223912289566
이와 관련하여 ‘진짜’ 전문가의 조력이 필요하시다면 위의 연락처로 문의해주세요.
간단한 상담 후 ①사건에 대한 가능성과 ②선임 비용 등을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